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26

#자바스크립트 책터디 1 - 이터레이터 이터레이터 패턴 배경만약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select 쿼리를 사용하여 질의 결과가 천 줄 혹은 그 이상이었을 때 루프와 같은 반복적인 방식을 사용해 데이터를 처리해야 합니다. 이 때 이터레이터 패턴을 사용. 1. 이터레이터는 next()라는 메서드를 지원하며, next()를 호출할 때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질의 결과에 해당하는 레코드나 줄과 같은 데이터 조각이 차례대로 반환. 2. 데이터가 총 몇개인지 사전에 알기 쉽지 않지만 이터레이터 패턴은 반복작업이 종료되었다는 신호를 줌. 3. 반복작업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때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. 깔끔하고 이해하기 쉬운 코드로 반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.  이터레이터 패턴의 프로토콜(ES6 명세서)- next() 메서드는 이터레이터 리절트라 불리는 .. 2024. 6. 8.
[앵귤러] 키보드 이벤트 내가원하는 이벤트 호출 2023. 2. 22.
npm start / ng serve 시 포트번호 지정, 포트 변경해서 시작하기 npm start -- --port 3100 2023. 1. 6.
[design-pattern]디자인패턴 브릿지패턴의 이해와 의미 브리지는 큰 클래스 또는 밀접하게 관련된 클래스들의 집합을 두 개의 개별 계층구조​(추상화 및 구현)​로 나눈 후 각각 독립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디자인 패턴입니다. 문제 추상화? 구현? 어렵게 들리시나요? 진정하세요. 그리고 간단한 예시를 한번 살펴봅시다. Circle​(원) 및 Square​(직사각형)​라는 한 쌍의 자식 클래스들이 있는 기하학적 Shape​(모양) 클래스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. 이 클래스 계층 구조를 확장하여 색상을 도입하기 위해 Red​(빨간색) 및 Blue​(파란색) 모양들의 자식 클래스들을 만들 계획입니다. 그러나 이미 두 개의 자식 클래스가 있으므로 Blue­Circle​(파란색 원) 및 Red­Square​(빨간색 직사각형)​와 같은 네 가지의 클래스 조합을 .. 2023. 1. 1.